Posts by Tag

Security

[회고] HSM(LunaClient)을 사용한 블록체인 지갑 개발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[알고리즘] 보안 알고리즘 3

Web 서비스를 만드는데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보안 알고리즘 (디피-헬먼 키 교환법, 메시지 인증 코드)

맨 위로 이동 ↑

Algorithm

[알고리즘] 보안 알고리즘 3

Web 서비스를 만드는데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보안 알고리즘 (디피-헬먼 키 교환법, 메시지 인증 코드)

맨 위로 이동 ↑

Conference

[Conference] 인프런 Spring 밋업 Josh Long

이번 밋업은 스프링 씬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Josh Long님이 “Bootiful Spring Boot: A DOGumentary” 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습니다. 최신 Java, Spring Boot 기능을 이용해서 성능과 효율 및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강연이었...

[Conference] MongoDB Korea Workshop

지난 2월 28일에 개최된 MongoDB 워크샵에 다녀왔습니다. 2022년도에 참석했던 대규모 컨퍼런스와는 다르게 기업회원 위주의 제한된 소수의 인원으로 진행된 교육 세션이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Spring

[Conference] 인프런 Spring 밋업 Josh Long

이번 밋업은 스프링 씬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Josh Long님이 “Bootiful Spring Boot: A DOGumentary” 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습니다. 최신 Java, Spring Boot 기능을 이용해서 성능과 효율 및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강연이었...

Spring과 NestJS 비교

NestJS를 사용한 서버 개발을 하는 회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Spring과 NestJS의 차이점에 대해서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. 오늘은 NestJS로 커리어를 시작해서 현재는 Kotlin & Spring 프로젝트까지 개발 중인 저의 주관적인 의견을 소개해 드...

맨 위로 이동 ↑

Review

[회고] NGINX 무중단 배포 이슈 및 스크립트 개선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[회고] HSM(LunaClient)을 사용한 블록체인 지갑 개발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OAuth & OIDC

OAuth 2.0과 OIDC(OpenID Connect) 프로토콜

소셜 로그인 구현을 위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은 OAuth 2.0과 OIDC가 있습니다. 이 두 프로토콜이 어떻게 인증 및 인가를 부여하는지 알아봅시다.

맨 위로 이동 ↑

Design Pattern

전략 패턴 (Strategy Pattern)

소셜 로그인 구현을 위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은 OAuth 2.0과 OIDC가 있습니다. 이 두 프로토콜이 어떻게 인증 및 인가를 부여하는지 알아봅시다.

맨 위로 이동 ↑

MongoDB

[Conference] MongoDB Korea Workshop

지난 2월 28일에 개최된 MongoDB 워크샵에 다녀왔습니다. 2022년도에 참석했던 대규모 컨퍼런스와는 다르게 기업회원 위주의 제한된 소수의 인원으로 진행된 교육 세션이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NestJS

Spring과 NestJS 비교

NestJS를 사용한 서버 개발을 하는 회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Spring과 NestJS의 차이점에 대해서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. 오늘은 NestJS로 커리어를 시작해서 현재는 Kotlin & Spring 프로젝트까지 개발 중인 저의 주관적인 의견을 소개해 드...

맨 위로 이동 ↑

Framework

Spring과 NestJS 비교

NestJS를 사용한 서버 개발을 하는 회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Spring과 NestJS의 차이점에 대해서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. 오늘은 NestJS로 커리어를 시작해서 현재는 Kotlin & Spring 프로젝트까지 개발 중인 저의 주관적인 의견을 소개해 드...

맨 위로 이동 ↑

Network

[네트워크] gRPC

HTTP/2와 프로토콜 버퍼를 사용하는, Google에서 개발한 RPC인 gRPC

맨 위로 이동 ↑

API

[네트워크] gRPC

HTTP/2와 프로토콜 버퍼를 사용하는, Google에서 개발한 RPC인 gRPC

맨 위로 이동 ↑

Book

맨 위로 이동 ↑

Computer Architecture

맨 위로 이동 ↑

OS

맨 위로 이동 ↑

Java

[Java] Garbage Collection (GC)

가비지 컬렉션은 자바 메모리 관리의 핵심 요소로서 힙 영역에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중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객체(garbage)들을 모아서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매커니즘입니다. 가비지 컬렉터가 메모리를 관리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메모리 누수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에...

맨 위로 이동 ↑

HSM

[회고] HSM(LunaClient)을 사용한 블록체인 지갑 개발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PKCS#11

[회고] HSM(LunaClient)을 사용한 블록체인 지갑 개발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Deploy

[회고] NGINX 무중단 배포 이슈 및 스크립트 개선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

ClassLoader

[회고] NGINX 무중단 배포 이슈 및 스크립트 개선

이번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지갑의 Private key 암호화 및 ECDSA 서명을 HSM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.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HSM 간의 연동은 업체에서 지원해주는 Luna Client 를 사용해서 구현했습니다.

맨 위로 이동 ↑